K패스 (K-PASS)는 정부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제도로, 전국 주요 도시의 버스·지하철 이용자에게 월 최대 3만 원까지 환급 혜택을 제공합니다.
현재 다양한 카드사에서 K패스 연동 체크카드를 출시하고 있으며, 2025년에는 카카오뱅크도 전용 카드를 출시하며 경쟁에 합류했습니다.
이 글에서는 공통 혜택, 카드사별 비교, 그리고 카카오뱅크 vs 케이뱅크 카드의 상세 차이점을 정리해 드립니다.
*체크카드 only*
✅ K패스 공통 혜택 요약
- 대상: 만 19세 이상 (청년·일반 모두 가능)
- 조건: K패스 등록 +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환급
- 환급률:
- 일반: 20%
- 청년(만 19~34세): 30%
- 저소득층: 53%
- 최대 환급: 월 60회까지 적용 (월 최대 약 3만 원)
- 적용 교통수단: 전국 버스, 지하철 등 대부분 대중교통
단순한 교통비 환급 외에도, 카드사별 추가 할인/적립 혜택이 있으므로 본인의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 선택이 중요합니다.
💳 주요 카드사별 K패스 체크카드 비교표
카드사 | 교통 캐시백/할인 | 전월 실적 | 생활/기타 혜택 | 특징 |
---|---|---|---|---|
KB국민 | 대중교통 10% 적립 | 30만 원 이상 | 생활영역 1~2% 적립 | VISA 겸용, 다양한 디자인 |
신한 | 대중교통 10% 할인 | 30만 원 이상 | 간편결제·온라인 2% 할인 | 신한페이, 페이코 연계 혜택 |
우리 | 대중교통 10% 캐시백 | 30만 원 이상 | 스타벅스 10% 등 캐시백 | 해외결제 수수료 면제 |
하나 | 대중교통 10% 캐시백 | 30만 원 이상 | 커피·드럭스토어 1% 캐시백 | 생활소비 영역 다수 |
NH농협 | 대중교통 10% 할인 | 40만 원 이상 | 렌터카, 전기차 5% 할인 | 교통 외 레저 혜택 |
케이뱅크 | 3,000원 교통 캐시백 (교통비 5만 원↑ 사용시) | 30만 원 이상 | 무신사·29CM 쿠폰 제공 | 모바일 교통카드 미지원 |
카카오뱅크 | 4,000원 교통 캐시백 (교통비 5만 원↑ 사용시) | 30만 원 이상 | 주말 0.4%, 평일 0.2% 캐시백 | 카카오프렌즈 디자인, 간편결제 지원 |
🔍 [비교] 카카오뱅크 vs 케이뱅크 K패스 체크카드
✅ 공통점
- K패스 환급은 동일하게 적용 (20~53%)
- 전월 실적 30만 원 + 교통 5만 원 이상 사용 시 추가 캐시백 제공
✅ 차이점
항목 | 카카오뱅크 K패스 프렌즈카드 | 케이뱅크 K패스 체크카드 |
교통 캐시백 | 4,000원 | 3,000원 |
생활 캐시백 | 주말 0.4%, 평일 0.2% | 무신사·29CM 할인 쿠폰 |
디자인 | 카카오프렌즈 전용 카드 | 일반 디자인 |
간편결제 | 카카오페이, 삼성페이 지원 | 일부 앱만 지원 |
✅ 추천: 대중교통+생활 소비를 모두 챙기려면 카카오뱅크, 패션 쇼핑 쿠폰을 원하면 케이뱅크
💡 카드사별 혜택은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, 꼭 다시 한번 확인해보세요~!
📌 결론 및 추천
K패스는 정부 환급 + 카드사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는 실속형 정책입니다.
하지만 각 카드사별로 실적 조건이나 추가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 선택이 중요합니다.
- 교통+일상 소비 모두 챙기기 → 카카오뱅크 K패스 프렌즈 카드
- 패션 쇼핑·특정 브랜드 혜택 중심 → 케이뱅크 K패스 카드
- 생활 할인 + 해외결제도 필요한 경우 → 국민/신한/우리은행 카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