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달 지출되는 교통비와 통신비.
알고 보면 청년을 위한 혜택이 꽤 많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2025년 기준으로 청년층이 활용할 수 있는 교통비·통신비 할인 혜택을
지원 대상, 금액, 신청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🚎 교통비 할인 혜택 (교통비·통신비 할인)
1. K-패스 (전국 시행)
- 대상: 만 19세 이상 (청년 포함 전 국민 가능)
- 혜택: 걷기·자전거 이동 거리만큼 마일리지 적립
- 환급 한도: 월 최대 30,000원 환급 가능
- 지역별 차이: 수도권은 환급형 / 지방은 마일리지형 혼합
- 신청: K-패스 공식 홈페이지
2.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
- 대상: 서울 거주 만 19~34세 청년 +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
- 내용: 연 최대 10만원 교통비 환급
- 신청 시기: 매년 상반기 (2025년 5~6월 예상)
- 신청처: 서울청년포털
3. 지자체별 청년 교통비 지원
지역 | 대상 | 지원 내용 | 신청처 |
---|
경기도 | 만 18~34세 청년 | 분기별 최대 6만원 환급 | 잡아바 |
부산 | 청년 및 대학생 | 월 최대 3만원 교통비 지원 | 부산청년플랫폼 |
대전 | 청년(만 19~34세) | 청년 교통 정액권 지급 | 대전청년포털 |
📱 통신비 할인 혜택 (교통비·통신비 할인)
1. 청년 전용 요금제 (SKT / KT / LGU+)
통신사 | 대상 | 주요 혜택 |
---|
SKT | 만 34세 이하 | 0플랜(데이터 추가, 콘텐츠 혜택 등) |
KT | 만 29세 이하 (일부 34세까지) | Y청년요금제 (데이터 2배 등) |
LGU+ | 만 29세 이하 (일부 34세까지) | 유플러스 청년요금제 (데이터 추가 등) |
- 특징:
- “요금이 20~30% 저렴”은 공식 기준이 아님
- 동일 또는 유사 가격에 데이터 추가 / 콘텐츠 제공 / 유튜브 프리미엄 등 혜택 제공
2. 복지대상 청년 통신비 감면
- 대상: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등
- 내용: 통신비(음성·데이터 포함) 최대 월 26,000원 감면
- 신청: 각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복지로
3. 알뜰폰 청년 요금제 (2025 기준)
구분 | 요금대 | 데이터/통화 |
---|
실속형 | 1만원대 | 데이터 1-6GB + 통화 100분~무제한 |
실용형 | 2~3만원대 | 데이터 11~15GB + 통화 무제한 |
- 추천 브랜드:
- 장점:
- 약정 無, 유심만으로 개통 가능
- 무약정 해지 자유로움 → 단기 사용에 적합
🧾 한눈에 보는 교통비·통신비 할인 요약표
구분 | 혜택명 | 대상 | 주요 혜택 | 신청처 |
---|
교통 | K-패스 | 만 19세 이상 | 월 최대 3만원 환급 | https://korea-pass.kr/ |
교통 | 서울 청년 교통비 | 서울 거주 청년 | 연 10만원 환급 | 서울청년포털 |
교통 | 지자체 교통비 | 경기/부산/대전 청년 | 월 or 분기 환급 | 각 지자체 |
통신 | 통신3사 청년요금제 | 만 29~34세 이하 | 데이터 추가/혜택 제공 | 각 통신사 |
통신 | 복지대상 통신비 감면 | 수급자/차상위 | 최대 26,000원 감면 | 복지로 |
통신 | 알뜰폰 청년요금제 | 전체 청년 | 데이터+통화 저렴 제공 | 알뜰폰사 |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