첫 월급, 어디부터 어떻게 써야 할까요?
사회에 첫발을 내딛고 받는 월급.. 용돈 말고 남의 돈 받는거 제법 감격스럽잖아요~~
근데 기쁜 것도 잠시.. 카드값, 식비, 교통비, 고정 지출들이 순식간에 통장을 스쳐갑니다.
저도 경제적으로 독립을 처음 시작하면서
“월급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”, “저축은 언제부터 해야 하지?” 같은 고민이 많았어요.
그래서 오늘은 사회초년생 시절, 실제로 적용 가능한 돈 관리법을 소개해드릴게요.
월급 200 기준으로 지출을 나누고, 저축을 이어가는 현실적인 방법입니다.
🧾 고정 지출부터 점검해요~
1. 교통비 — 택시는 이제 그만~!
첫 직장, 피곤하니까 택시 탈 수 있어요. 늦게 일어나면? 택시? 탈 수 있어요..
하지만 자주 타다 보면 생각보다 빠르게 월말이 옵니다.
→ 정기권, 지하철 중심 이동 습관으로 한 달 5만 원 이상 절약 가능!
ㄴ 정기권이 아니더라도 기후동행카드(서울), K-PASS 다들 쓰시고 있죠??!
2. 식비 — 배달은 줄여보자~
배달료, 포장비, 최소 주문금액까지 더하면 1끼에 2만 원~3만원…
→ “배달 멈추고 1인 도시락 만들기” 혹은 근처 반찬집에서 반찬 사와서 아껴먹거나..
→ 식료품 사와서 간단하게 요리해먹는것은 어떠신지~~ 초간단 레시피들 가끔씩 공유할게요~!🧑🏻🍳
ㄴ 굽네 고추바사삭 홈메이드 ver 등 은근 맛있고 간단하게 해먹을 만한게 많아요~
3. 카페비 — 커피는 죽어도 못참겠다..싶은 사람들 모두 모여라
출근 전 커피, 점심 후 커피… 매일 사면 월 10만 원 이상 나갑니다.
→ 홈카페 세팅 or ‘주 3회만 산다’ 룰 설정하면 절약 효과 👍
→ 가끔씩 어플에서 행사하는거 있자나요.. 예를들면 KT 출석체크만 열심히 해도 메가커피 아메리카노 한잔 받을 수 있거등요..
4. 생활비 — 고정지출 점검은 필수..
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, 클라우드 요금 등
→ 사용하지 않는 구독은 과감히 해지, 보험도 다시 점검해보세요
ㄴ 저는 요즘 쿠팡 사용이 급격히 줄어서 로켓와우를 해지했습니다.. 가족 구성원중 굳이 2명이 쓸 필요는 없는 것 같아서요~
5. 여가비 — 친구, 연인과의 소중한 시간
무조건 아끼기보다 예산 안에서 소비하는 습관이 더 오래가요..
→ “한 달 예산 20만 원으로 계획적인 여가 만들기” 도전해보세요.
→ 무조건 여가비로 정한 예산안에서 놀아보는 것은 어떠쉰지~~?👀
💸 저축, 작게 시작해도 늦지 않아요
1. 정기 적금 1 — 메인 저축 (50만 원)
처음부터 큰 금액은 부담일 수 있어요.
20만원부터 → 30만원 → 50만원으로 점차 늘려가며 습관을 들이는 것도 추천합니다.
2. 정기 적금 2 — 비상금 (5만 원)
‘이건 그냥 배달 한 번 안 시킨다’는 마음으로 넣는 소액 저축입니다.
→ 나중에 여행비, 선물비 로도 쓸 수 있어요..
→ 저는 이 금액은 제2의 비상금으로 여윳돈으로 쓰고 있어요..
3. 정기 적금 3 — 미래 대비 적금 (10만 원 이상)
보험, 자동차 등 장기 계획을 위한 저축.
→ ‘목적 없는 저축’이 나중에 가장 유용하게 쓰입니다.
이건 그냥 평생 모은다고 생각하시면 되어요~ 나중에 정말 필요할때 쓸거라고 다짐하면서요!
4. 청약통장 — 사회초년생 필수 통장
2~25만 원이라도 매달 넣는 게 중요해요.
→ 혹시 모를 내 집 마련 기회, 이 통장 하나로 시작됩니다.
→ 청약통장 최대 입금액이 25만원까지 늘어났으니깐요.. 이미 조건을 채웠다면 꽉꽉 채울필요는 없지만.. 그래도 호오오옥시 모르니깐요..ㅎㅎ
5. 비상금 — 갑자기 쓸 일이 꼭 생깁니다
병원비, 가족 경조사, 갑작스러운 회식 등
→ 10~15만 원 정도는 ‘쓸 수 있는 돈’으로 따로 보관하세요.**
ATM 출금이 가능한 계좌-카드 에 연결해놓는게 좋아요.
📊 월급 200 기준 예산 분배 예시
항목 | 금액 |
---|---|
식비 | 30만 원 |
교통비 | 10만 원 |
여가비 | 20만 원 |
생활비(고정) | 25만 원 |
정기적금1 | 50만 원 |
정기적금2 | 5만 원 |
정기적금3 | 10만 원 |
청약 | 10만 원 |
비상금 | 10만 원 |
예비비 | 30만 원 |
※ 예비비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 가능한 여유 자금입니다.
📝 마무리 팁
이 예산안은 ‘정답’이 아니라, 출발선이에요.
각자의 생활 패턴, 우선순위, 월급 규모에 맞춰 조정하면서 내 스타일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.
가장 중요한 건 ‘보이는 돈 관리’를 시작하는 것!
저도 처음엔 어렵고 귀찮았지만, 통장을 쪼개고, 소비 내역을 눈으로 확인하니까 마음이 훨씬 편해졌어요.
사실 월급날마다 자동이체 시켜놓으면 정말 편하답니다..
순식간에 월급통장에 잔고가 없어져서 슬퍼지긴하지만요..ㅠㅠ
✨ 다음 글 예고
다음 글에서는
👉 “실제로 저축이 잘 되는 통장 쪼개기 팁”
👉 “사회초년생에게 추천하는 입출금/적금 통장 조합”도 소개해드릴게요.
우리 같이 경제적 독립, 차근차근 준비해봐요! 😊

사회초년생 주거지원 정책 관련 내용도 참고해보세요~!
ㄴ 자세한 정보, 새로운 정책지원 등이 나오면 추가하겠습니다.